기사 메일전송
‘1,320억 부동산담보대출’ 논란…사모펀드 배 불린 ‘정부 임차사업’ 의혹
  • 최슬기 기자
  • 등록 2025-10-30 09:45:57

기사수정
  • 홍대 신축건물 ‘전부 임차’한 중기부 글로벌 창업허브, 담보로 대출 실행
  • 이지스자산운용 “정부 장기임대 수익 구조 근거”…새마을금고 등 33개 대주단 참여
  • 권향엽 의원 “6년간 844억 원 월세, 윤석열 정부 대표적 예산비리…감사원 감사 촉구”

중소벤처기업부가 홍대 인근 신축건물을 ‘전부 임차’해 추진 중인 글로벌 창업허브 사업이 1,320억 원 규모의 부동산담보대출로 이어진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의원은 “정부 사업을 담보로 사모펀드의 배를 불린 구조적 예산비리”라며 감사원 감사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국회의원(순천 · 광양 · 곡성 · 구례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국회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2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글로벌 창업허브’ 사업을 위해 전부 임차한 홍대 신축건물 코너136 빌딩을 담보로, 1,320억 원 규모의 부동산담보대출이 실행됐다고 밝혔다.

 

해당 건물의 소유주는 ‘에이치밸류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유한회사’로, 이지스자산운용이 운용하는 사모펀드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지난 2024년 11월 22일 새마을금고중앙회를 비롯한 전국 33개 새마을금고로 구성된 대주단에 대출을 신청했고, 같은 달 25일 심사를 거쳐 12월 9일 대출이 실행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직후였던 12월 4일, 이지스 측과 대주단은 대출약정서를 체결했다.

 

대출신청 시 제출된 발표자료에는 “중기부와 체결한 전부임차 계약으로 최소 5년(자동연장 시 6년)간 안정적 임대수익이 확보되어 대출이자 상환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요 근거로 명시됐다. 또한 “2025년도 글로벌 창업허브 예산이 31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4억 원 증액되었다”는 중기부 예산안을 대출 안정성의 근거로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주단의 심사자료에는 “정부 공공기관과의 임대차계약 수익구조로 안정적인 이자수취 가능”, “임차인이 인테리어 공사비 약 220억 원을 투입 예정으로 계약 연장 가능성이 높음” 등의 문구가 포함돼 있었다. 실질적으로 정부의 장기임대료가 민간 금융권의 대출 안정성을 뒷받침한 셈이다.

 

중기부는 2024년 7월 글로벌 창업허브 사업지를 홍대로 결정하고, 9월 20일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건물은 여전히 공사 중이었으며 사용승인일은 10월 31일이었다. 중기부는 11월부터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하며 고정·실비관리비를 납부했고, 임대료 납부 기준일은 2025년 2월 1일부터다.

 

권향엽 의원은 “중기부가 6년간 844억 원의 월세와 관리비를 부담해야 한다”며 “결국 정부의 안정적인 임차 계약이 사모펀드의 대출 근거로 이용된 셈”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이 사업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서울대 법대 선배인 김강욱 전 대전고검장이 깊이 연루돼 있다”며 “김 전 검사는 추미애-윤석열 갈등 당시 추 전 장관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고,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초대 법무부장관 후보로 거론된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해당 건물을 최종 사업지로 결정한 오영주 당시 중기부 장관의 남편 장석명 씨는 이명박 정부 청와대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으로 유죄를 선고받았으나, 윤 대통령으로부터 특별사면을 받은 바 있다”며 “정권 핵심 인맥이 얽힌 ‘정치적 유착형 예산사업’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홍대 글로벌 창업허브는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 예산비리사업으로, 감사원 감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중기부와 기재부가 고액 월세 부담을 숨기기 위해 예산안 표지를 바꾸는 ‘표지 갈이’까지 했다는 정황도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 사업을 담보로 사모펀드가 대출을 일으키는 구조는 공공성과 투명성을 훼손하는 위험한 전례”라며 “사모펀드의 수익 보전을 위한 정부 사업이라면 즉각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영상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해남, 국가AI컴퓨팅센터 유력지 확정… ‘대한민국 AI수도’로 도약 해남군이 삼성SDS 컨소시엄의 국가AI컴퓨팅센터 유력 대상지로 사실상 확정되며, RE100 국가산단·오픈AI·SK 데이터센터 유치에 이어 ‘대한민국 AI수도’로 도약할 준비된 도시로 부상했다.해남군이 삼성SDS 컨소시엄의 국가AI컴퓨팅센터 유력 대상지로 사실상 확정되며, RE100 국가산단·오픈AI·SK 데이터센터 유치에 이어 ‘대한민국 AI수도’로...
  2. 전라남도, 생태관광도시 함평군 서남권 중추도시로 육성한다 전라남도가 함평군을 ‘대한민국 생태관광 대표도시’로 육성하고, 빛그린 국가산단을 기반으로 한 ‘초광역 K-모빌리티·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 유치를 추진한다.
  3. 대한민국 치유길 1호 신지 명사십리. 맨발 걷기 명소 우뚝 2025 해양치유 전국 맨발 걷기 축제 사진 전남 완도군의 신지 명사십리가 지난 ‘24년 10월 ‘대한민국 맨발 걷기 치유길 1호’로 공식 선포되며 맨발 걷기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대한민국 맨발 걷기 치유길 1호’는 3.8km의 모래 해변과 더불어 1km의 황톳길, 해송 숲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맨발 걷기에 최적이다.특히 모래 입.
  4. ‘2025 전남 콘텐츠 페어’, 장흥 빠삐용zip서 개막… 로컬 콘텐츠 한자리에 전라남도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장흥 빠삐용zip에서‘2025 전남 콘텐츠 페어’를 개최한다. 전남도와 장흥군이 공동 주최하며, 웹툰·애니메이션·메타버스·게임 등 7개 전시·체험존과‘교도소24시’ 수감 체험, 방탈출, 더빙체험 등 무료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5. 국립목포대학교, 후문 상권 살리기 프로젝트 ‘청계 후문 골목축제’ 성황리에 개최 국립목포대학교는 지난 10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간 청계동 후문 인근 상권에서 ‘청계 후문 골목축제’를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되며, 지역 상가 12곳이 참여해 막걸리 시음회와 청년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대학과 지역 상권, 주민이 함께 어우러진 이번 행사는 침체된 후문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
  6. 정청래 “지방선거 권리당원 참여 전면 확대…내리꽂는 일 없을 것”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발대식에서 “가장 많은 권리당원, 전체 구성원이 경선에 참여하는 게 지방선거 승리의 가장 큰 주춧돌”이라며 내년 6·3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 참여를 전면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도부가 후보를 ‘내리꽂는’ 식의 방식은 없을 것이라 강조했고, 부적격자 기...
  7. 전남교육청, 대불초등학교서 다문화교육 현장 소통 강화 전라남도교육청은 10월 15일 영암군 소재 대불초등학교를 방문해 다문화교육을 주제로 한 현장 소통 시간을 가졌다. 교육청은 다문화학생과 가족, 교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자리에서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포용적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